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6 인서울 미디어 콘텐츠 수시전략

     

     

     

    미디어·콘텐츠 계열(미디어학·콘텐츠학·영상·광고홍보 등)을 목표로 한다면, 수시 준비는 이렇게 해야 합니다. 인서울 주요 대학 모집단위별 전략, 내신·탐구 과목 선택 팁, 비교과 활동 체크리스트까지. 3·4·5등급 학생도 참고할 만한 사항들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왜 수시에서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하나?

     

    • 미디어·콘텐츠 계열은 최근 인문 + 기술 융합 성격이 강해짐. 단순히 내신만으로는 부족하고, 활동과 자기 표현력이 중요해졌습니다.
    • 논술 전형 경쟁률이 72:1 이상인 학과도 등장해 수시 학종 또는 교과 전형이 “현실적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논술 경쟁률 분석 참고)
    • 수시는 내신·교과 반영 + 비교과 활동 + 서류 대비가 핵심. 지금부터 체계적 준비가 시간 대비 효율이 높습니다.

     

    2026학년도 인서울 미디어·언론홍보학과 논술 경쟁률 완전 분석

     

     

    2) 등급대별 전략 가이드

    2-1. 1~2등급

    • 목표: 상위권 인서울 대학 미디어·콘텐츠 계열 학종 + 논술 모두 도전
    • 준비 포인트:
      • 내신 전 과목 1 ~ 2등급 유지
      • 탐구는 선택과목 + 융합탐구 고려 → 활동과 연계
      • 영상제작·콘텐츠 캠프·국제대회 수상 등 차별 포인트 구축
    • 추천 모집 전략:
      • 학종 1 지망, 논술 2 지망 구성
      • 비교과 활동을 ‘콘텐츠 제작 → 유통 → 분석’ 흐름으로 설계

     

     

     

     

    2-2. 3~4등급

    • 목표: 인서울 중상위권 대학 공모전형 또는 교과내신+활동이 강한 학종
    • 준비 포인트:
      • 내신 교과는 최대한 안정권 유지 (과목별 격차 줄이기)
      • 탐구 과목은 과탐Ⅱ보다는 과탐Ⅰ 또는 융합탐구 활용
      • 비교과 활동은 동아리 콘텐츠·SNS 채널 운영·지역 미디어 발표회 등 실제 활동 중심
    • 추천 모집 전략:
      • 2 지망以内 인서울 중상위권 미디어계열 지원
      • 논술보다는 학종/교과 집중, 논술은 안전지로 한정

     

    2-3. 5등급 이하

    • 목표: 인서울 ‘넓은 틀’로 수시 지원 + 논술·정시 병행
    • 준비 포인트:
      • 내신 5등급이라도 활동 강점으로 보완 가능. 영상 제작·유튜브 채널 운영·지역 콘텐츠 봉사 등이 좋은 사례
      • 탐구 과목에서 유리한 선택과목(과탐Ⅰ) 혹은 사탐과의 연계 활용
      • 학종 대비는 활동 설계 + 자기소개서 대비 → “나만의 미디어 이야기” 구성
    • 추천 모집 전략:
      • 인서울 대학 중 모집인원이 많은 학과(상대적으로 경쟁률 낮은 학과) 1 지망
      • 논술은 안 전 지, 정시는 가능성 있는 대학 중심으로 병행

     

     

     

     

    3) 내신·탐구 과목 선택 팁

     

     

    • 교과전형 및 학종 교과반영률이 증가함에 따라, 핵심과목은 **국어·영어·수학·사회(탐구)**가 중심. 미디어계열에서는 사회탐구+현대사상·미디어리터러시 등 선택과목 우대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탐구과목 선택 전략:
      • 과탐이 강점이면 과탐Ⅰ + Ⅱ 조합, 아니면 사탐 중에서 비교적 ‘미디어 사회과학’ 요소 있는 과목 선택
      • 융합탐구(예: 미디어와 사회, 데이터와 사회 등) 개설학교면 활용 추천
    • 내신 대비 팁:
      • 모든 과목 1등급 유지보다는 ‘미디어 전공 적합성 과목’에서 1등급 확보하는 전략도 유효
      • 영상·미디어 관련 과목(정보·컴퓨터·영상 등)이 있으면 가산 효과 있음(일부 대학 반영)

     

     

    4) 비교과 활동 및 서류 준비 전략

     

     

    • 콘텐츠 제작 경험: 유튜브 채널 운영, 영상 공모전 수상, 지역 미디어 활동 등 구체적 수치·결과 포함
    • 탐구활동: “미디어 소비 패턴 분석 → 자료수집 → 영상제작 → 결과 공유” 등 흐름으로 설계
    • 봉사/인턴: 지역방송국·학교방송국 참여, 콘텐츠 기획 보조, 소셜미디어 캠페인 등
    • 자기소개서 구성:
      • ① 문제제기(미디어 환경 변화 등)
      • ② 나의 활동/해결 과정
      • ③ 결과 및 느낀 점
      • ④ 전공연계 및 향후계획
    • 면접 대비: 미디어·콘텐츠 계열은 ‘자료해석형’ 질문 증가 → “사회적 미디어현상 → 본인의 활동으로 연결” 흐름 연습

     

     

     

     

    5) 모집군별·전형별 세부 전략

     

    • 1 지망 학종: 전공적합성·활동 중심 → 면접 대비 포함
    • 2 지망 논술 or 교과: 논술은 준비시간이 길기 때문에 1 지망에서 학종 포커스, 2 지망은 논술/교과 전략
    • 수시 복수지원 활용: 미디어계열은 모집단위가 복수인 경우 많으므로 ‘융합미디어학부’, ‘콘텐츠디자인학과’ 등 포함 검토
    • 수능최저·교과반영 유무 확인: 논술은 최저조건이 완화된 경우 많고, 교과는 내신의 영향력이 큼

     

     

     

     

     

     

     

     

     

     

     

     

     

     

     

     

     

     

     

     

     

     

     

     

     

     

     

     

    반응형